반응형

[기업분석] 신세계건설 - 화성테마파크 건설 추진

728x90

오늘은 신세계건설 기업에 대해서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전문가가 아니기에 참고만을 부탁드리며 혹시라도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기업개요

신세계건설의 설립연도는 1991년이며, 1999년 코스닥시장, 2002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신세계건설의 건설부문은 백화점, 할인점, 아울렛몰 등 대형 판매시설 건설과 오피스, 오피스텔, 주거시설의 신축을 주된 사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 지배구조 현황

 

최대주주는 이마트로, 약 4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영업이익률, ROE 현황

▶영업이익률이란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ROE(Return On Equity)란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하며, 기업이 자금을 투자해 한 해 동안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영업이익률은 큰 변동 없이 양호한 편이지만 ROE는 하락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현금흐름 현황

 

현금흐름 현황을 살펴보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지난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과 재무활동현금흐름 또한 상승하고 있긴 하지만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으니 좋은 상황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 밸류에이션 상태

EPS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ER이란 주가수익비율을 뜻하며 특정 주식의 주당시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즉,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냅니다. 그렇기에 PER은 회사의 주식가치가 고평가 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잣대입니다.

 

PBR이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을 뜻하며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이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 반면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EPS는 지난해, 크게 하락한 모습입니다. PER은 동일 업종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이며, PBR 또한 양호합니다.


이렇게 신세계건설 기업분석을 마쳤습니다.

 

신세계건설이 참여하는 화성 국제 테마파크 조성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고 합니다. 화성 테마파크는 신세계그룹이 한국판 디즈니랜드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추진 중인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전날 신세계화성은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일원의 토지 및 건물을 취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신세계화성은 화성 테마파크를 조성하고자 신세계프라퍼티와 신세계건설이 출자해 만들어진 법인입니다. 

 

※ 이 포스팅은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